

<제국의 위안부>로 민·형사 소송에 휘말린 박유하 세종대 교수(일문학)가 피소 4년을 맞아 책 두 권을 한꺼번에 내놨다.
<제국의 위안부>를 출간했던 뿌리와이파리 출판사에서 나온 <제국의 위안부, 지식인을 말한다>는 박 교수가 자신에게 쏟아진 비판을 조목조목 반박한 책이다. 또 <제국의 위안부, 법정에서 1460일>은 최근까지의 법정 공방을 정리하고 소송 자체의 부당성을 주장한다.
앞서 2013년 <제국의 위안부> 초판에서 박 교수는 일본군의 위안부 피해자들은 “매춘의 틀 안에 있는 여성(관리 매춘)”이라거나 “일본군과는 동지적 관계이자 식민지인으로서 (전쟁의) 협력자”였다며 “일본군의 강제연행을 근거로 법적 책임을 지우기는 어렵다””는 주장을 펼쳐 격렬한 파문과 논란을 낳았다. 일본군 위안부 만행의 원인을 제국주의뿐만 아니라 가부장제와 가난에서도 찾아야 한다는 박 교수의 견해는 당혹스럽지만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나, 송사에 휘말리면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.
이듬해 위안부 피해자들은 박 교수와 출판사 대표 정아무개씨를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고 출판·광고 금지 가처분 소송을 냈었다. 가처분 신청은 2015년 2월 일부 인용돼 34곳을 삭제한 제2판이 간행됐다. 또 민사소송에서 1심 법원은 피고가 원고 쪽에 총 9천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. 형사소송은 1심에서 무죄, 2심에서 벌금형이 나와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.
박 교수는 <제국의 위안부, 법정에서 1460일>에서 “이 재판의 가장 큰 아이러니는 검사도 변호사도 기존 보고서들의 견해를 ‘대변’하고 있다는 점”이라며 “그 논문이나 보고서를 만든 이들은 법정에 없는 완벽한 대리싸움”이라고 주장했다. 그는 “<제국의 위안부>는 역사서라기보다 ‘역사와 마주하는 방식’에 대한 책”이란 기존 주장을 거듭 강조했다. “나의 목적은 한국/일본/정부/민간/(위안부 문제) 부정자 등이 대화 불능의 대립상태를 넘어설 접점 만들기”였으며, “오로지 그것을 위해 <제국의 위안부>를 썼다”는 것. 박 교수는 민사 손배심과 형사소송 1,2심에서 법정에 제출한 준비서면 답변서와 최후진술, 공판기 등도 <제국의 위안부, 법정에서 1460일>에 함께 실었다.

출판사 쪽도 보도자료를 통해 “수많은 사람들이 (박 교수의) 책을 읽지도 않은 채로, 혹은 확증편향적으로 박유하 교수를 비난해왔다”며 이는 “‘다른 목소리’에 대한 폭력적 억압”이라고 주장했다. 출판사 쪽은 또 “이 책(제국의 위안부, 지식인을 말한다)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‘기존의 시각’과 ‘새로운 시각’을 보여준다” “이제 이 책을 읽지 않고는 <제국의 위안부> 소송에 대해 말할 수 없을 것”이라고 밝혔다.
박유하 교수는 <제국의 위안부, 지식인을 말한다>에서는 “<제국의 위안부> 고소고발 사태는 학술공간에서 이루어졌어야 할 논의를 법정에서 이루어지도록 만든 사태”라고 규정했다. 그는 “나에게 비판적이었던 한·일 ‘지식인’들은 이 기간 동안 나를 공론의 장에 부르지 않았을 뿐 아니라, 재판도 대중의 마녀사냥적 비난도 방관했다”며 “이 책은 학계가 만들어주지 않았기에 내가 직접 만든 ‘공론의 장’의 첫 시도”라고 밝혔다. 이 책에는 2014∼2017년 국내외 지식인들이 박 교수의 주장을 법정이 아닌 학문적 영역에서 다뤄야 한다는 취지로 발표한 성명 4건을 실었다.
조일준 기자 iljun@hani.c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