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(농해수위)에서 열린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야당은 김 후보자의 내년 6월 지방선거 출마 여부를 집중적으로 따졌다. 부산에 지역구(진갑)를 둔 현역 의원인 김 후보자는 2014년 지방선거 때 부산시장에 출마했다가 오거돈 무소속 후보에게 자리를 양보한 바 있다.
김 후보자는 “내년 지방선거에 부산시장으로 출마할 생각인가”라고 묻는 황주홍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 “지금으로선 전혀 생각이 없다. 해양수산업을 다시 세우는 데 전력투구하는 것 외에는 다른 고려도 하지 않겠다”고 말했다. 자유한국당의 이군현·이양수 의원이 재차 묻자 김 후보자는 “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모르겠는데, 애초 이 일을 맡기 전에도 내년에 부산시장에 출마할 생각이 전혀 없었다. 부산에서 처음 국회의원을 하기 때문에 임기(2020년)를 성실하게 다 마치겠다”고 말했다.
김 후보자는 또 자유한국당 이양수·권석창 의원이 “석사 논문이 대학원 지도교수가 쓴 용역보고서와 30페이지가량 일치한다”고 지적하자 “당시는 그런 문제의식이 없이 작업이 이뤄졌는데 중복게재가 된 건 분명한 사실이다. 그 점은 유감스럽게 생각한다”고 말했다. 김 후보자는 “지도교수였던 서진영 교수의 통일원 용역보고서와 제 석사 논문 제출 시점이 1990년 12월로 같다. 서 교수 보고서는 북한체제 변동을 예측하는 주제였고 그 가운데 소련 부분은 제 석사 논문 주제여서 그 부분을 담당해 같이 썼다”고 설명했다.
김 후보자는 세월호 참사 대책과 관련해 “수색을 최대한 서둘러 모든 미수습자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. 추모시설 설치, 4·16 재단 설립, 해양안전 체험관 건립 등 후속 조치를 지원해 나가고,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의 사고 원인 조사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”고 말했다.
김 후보자는 청탁금지법(김영란법)에 대해 “장관이 되면 농축수산물은 예외조항을 적용하도록 법 개정을 요구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 그는 또 과거 한-미 자유무역협정(FTA)을 반대하는 발언을 했던 데 대해 “과도한 공포감으로 에프티에이를 바라봤고 예측보다는 우리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준 것은 아니란 점은 충분히 인정하며 너무 지나치게 생각했다”고 말했다.
국회 농해수위는 15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하기로 했다.
이경미 엄지원 김규남 기자 kmlee@hani.c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