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박근혜 대통령은 3일 “전후 70년 계기에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‘아베 총리 담화’가 역대 담화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게 재확인해 양국 관계가 미래로 향하는 데 큰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”고 밝혔다. 한-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의 현안이 먼저 해결되어야 이뤄질 수 있다는 점도 다시 강조했다.
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1박2일 일정으로 방한한 오카다 가쓰야 일본 민주당 대표 일행을 만나 “한-일 관계가 오늘날까지 발전하게 된 데에는 식민지배와 침략을 반성하면서 미래로 나아가고자 했던 일본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에 기본을 두고 있다”며 이같이 밝혔다. 일본 내 대표적 ‘지한파’로 통하는 오카다 대표는 2010년 간 나오토 당시 일본 총리가 발표한 ‘한-일 강제병합 100년 관련 담화’ 작성 과정에 외무상으로서 관여한 바 있다. 박 대통령은 “과거, 현재, 미래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양국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과거와의 화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”고 말했다.
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현안 해결이 한-일 정상회담의 선결 과제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. 박 대통령은 오카다 대표의 ‘한-일 정상회담의 정기적 개최’ 건의에 대해 “남아 있는 현안들에 대해 인내심을 갖고 하나씩 지혜롭게 풀어가는 것이 양국 관계 개선은 물론, 정상회담 개최 분위기 조성에도 기여할 것”이라고 밝혔다. 박 대통령은 올해 1월 새해기자회견 등을 통해 이런 뜻을 밝힌 바 있다.
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선 “(위안부 피해자들의) 평균연령이 90세에 가까운 고령인 점을 감안해, 시급성을 갖고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”이라며 “고령인 피해자분들을 생각하면 사실상 지금이 해결을 위한 마지막 기회가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 이에 대해 오카다 대표는 “할머니들의 고통을 생각하면 일본 정치가로서 매우 죄송스럽고 부끄럽다”고 말했다.
박 대통령은 “과거사 관련 현안이 남아 있지만 안보, 경제 등에 있어서 한-일 간 대화와 협력을 계속 강화해 나가기를 바란다”며 “광복 70주년이자 한-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의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도록, 금년이 새로운 미래를 내다보며 한·일이 함께 협력관계를 돈독히 하는 해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”고 말했다.
최혜정 기자 idun@hani.c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