충북지역 자치단체들이 생활 쓰레기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.
해마다 쓰레기는 늘어 매립장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지만 혐오시설을 바라지 않는 주민들의 반발로 새로운 처리공간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.
충북지역 시군 12곳에는 쓰레기 490만4천㎥를 매립할 수 있는 매립장이 있지만 지난 5월 말까지 295만여㎥(60%)가 가득 찼다. 하루 평균 600~700여t이 매립돼 6~7년 뒤면 새 매립장을 찾아야 한다. 소각 시설을 늘리고 있지만 치솟는 연료 부담 때문에 매립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.
음성·청주·영동 등은 내년이면 매립장 사용기간이 종료되는 자치단체는 새 매립장을 찾는 것이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되고 있다.
음성군은 진천군과 함께 쓰는 맹동쓰레기 매립장이 90% 이상 차 새 매립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.
1996년 건립 당시 올해 말까지 쓰기로 했지만 새 매립장을 짓지 못하자 기존 시설을 확장해 내년 6월까지 쓰기로 했다.
그러나 입지 선정·실시 설계 등을 마치고 다음달 안에 착공을 해도 내년 12월께나 쓸 수 있어 내년 하반기 쓰레기 대란을 예고하고 있다. 반국병 군 환경시설 담당은 “입지선정, 주민협의 등 어려움이 있었다”며 “소각장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내년 쓰레기 처리 방안도 함께 찾고 있다”고 말했다.
청주·청원도 내년 9월이면 청원 강내 광역 매립장이 가득 차 골머리를 앓고 있다. 내년 3월께부터 하루 200t 처리 규모의 소각장을 가동할 계획이지만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.
시 청소행정과 신윤수씨는 “청원군 쪽과 제2매립장 건설을 놓고 협의하고 있지만 주민 반대 등에 부딪혀 뾰족한 수가 나오지 않고 있다”며 “악취 저감 대책, 친환경 공법, 주민 복지 대책 등을 세워 군과 협의를 할 계획”이라고 말했다.
제천시는 지난 3월 하루 평균 50t을 소각처리 할 수 있는 다목적 폐기물 처리장을 세웠지만 늘어나는 쓰레기량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. 강구 제천시 자원관리 담당은 “여름철에는 하루 평균 60~70t가량의 소각 폐기물로, 겨울에는 하루 평균 30~40t가량의 연탄재로 매립장이 쌓여간다”며 “쓰레기 처리는 모든 자치단체들의 공동 숙제”라고 말했다.
오윤주 기자 sting@hani.co.kr
매립장 포화 충북 ‘쓰레기 대란’ 우려
주민 반대로 새부지 못찾아
오윤주기자
- 수정 2019-10-19 11:23
- 등록 2008-09-08 22:22